Whether in painting or sculpture, I wish for all works to form a structure where some pure energy in myself and that in the onlooker can mutually interact.
— Lee Kang So
그림에서든, 조각에서든, 어떤 작업에서도 나의 어떤 맑은 기운과 관조자의 맑은 기운이 서로 교류할 수 있는 구조가 형성되길 소망한다.
— 이강소
Following a major retrospective of Lee Kang So’s work at the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Korea in 2024, Thaddaeus Ropac Seoul presents Dwelling in Mist and Glow, the artist’s first solo show at the gallery. Spanning five decades of his multimedia artistic production, the exhibition presents paintings, prints, sculptures and an installation that crystallise the uniquely expressive nature of Lee’s practice, which has blazed a trail in contemporary Korean art.
타데우스 로팍은 한국 현대미술의 거장 이강소의 개인전 ⟪煙霞(연하)로 집을 삼고, 風月(풍월)로 벗을 사마⟫를 개최한다. 본 전시는 2024년 9월 갤러리와 국제적 협업을 체결한 이후 함께 선보이는 첫 번째 전시로, 회화, 조각, 판화, 설치 등 다양한 매체의 작품을 폭넓게 아우름으로써 한국 현대미술의 흐름 속에서 독창적이고도 선구적인 위치를 확립한 이강소의 작품 세계를 조망한다.
From an Island-03037, 2003
Oil on canvas
200 x 360 cm (78.74 x 141.73 in)

The title of the exhibition is drawn from a classical Korean poem written by Yi Hwang, a renowned 16th-century Confucian scholar. Composed during a retreat to Andong mountain, the poem reflects Yi Hwang’s deep engagement with nature: ‘Dwelling in mist and glow / Befriending wind and moon’.
전시 제목은 16세기 조선의 유학자 퇴계 이황이 안동 도산서원에 머무르며 자연 속에서의 성찰과 수양을 노래한 시조 ⟪도산십이곡 (陶山十二曲)⟫ 중 제2곡에서 비롯되었다. “煙霞(연하)로 집을 삼고, 風月(풍월)로 벗을 사마”는 인간이 자연 속에 스며들어 존재의 본질을 되묻고, 자아를 우주적 질서와 조화시키려는 시인의 태도가 고스란히 담긴 구절이다.
Untitled-89057, 1989
Oil on canvas
194 x 258.3 cm (76.38 x 101.69 in)

Lee Kang So profoundly resonates with the poet’s sense of unity with nature, which echoes his own conception of art as an act of attunement with the natural realm and its ever-shifting rhythms, rather than personal assertion. For the artist, ‘When mind and cosmos become one, self and object dissolve.’
이강소는 이러한 퇴계의 자연관에 깊이 공명하며, 자신의 예술 또한 자아를 표출하거나 고정된 실체를 구축하는 것이 아니라 끊임없이 변화하고 흘러가는 세계의 흐름과 조응하는 행위라고 말한다. 작가는 자연의 흐름에 조율된 상태, 침묵 속 감응의 순간, 그리고 물아일체의 경험을 포착하고자 끊임없이 시도한다. 이에 대해 그는 “마음과 우주가 하나가 되면, 이때 나도 남도 탈각한다”고 덧붙인다.
Untitled-(N)91142, 1991
Oil on canvas
198 x 243 cm (77.95 x 95.67 in)

Lee Kang So seamlessly blends elements from both traditional East Asian art and international stylistic tendencies. His quick, skillful brushwork reveals his affinity with calligraphy and ink wash painting, while his impressionistic waterscapes evoke the spiritual strokes of literati painting.
이강소는 동아시아 전통 회화의 요소들과 국제적 양식의 흐름을 자연스럽게 융합한다. 속도감이 느껴지는 유려한 붓놀림에서는 무릇 서예와 수묵화에 대한 깊은 이해가 드러나며, 인상주의적 수변 풍경은 문인화의 정신적인 필치를 연상시킨다.
Serenity-16229, 2016
Acrylic on canvas
218 x 291 cm (85.83 x 114.57 in)
From an Island-95118, 1995
Oil on canvas
70 x 200 cm (27.56 x 78.74 in)

Harnessing each movement’s expressive potential, Lee Kang So has forged a singular path to painting that foregrounds, as art historian Robert C. Morgan sets forth, ‘the gesture as the essential movement, the way into the space, the Tao of everything alive and noble and fecund in nature.’
이강소는 다양한 회화 사조가 지닌 표현적 잠재력을 유연하게 활용해 왔다. 미술사학자 로버트 C. 모건(Robert C. Morgan)의 표현을 빌리자면 작가는 “필수적인 움직임으로서의 제스처, 공간으로 진입하는 방식, 그리고 살아있고 고귀하며 풍요로운 자연의 도(道)”를 주축으로 삼아 자신만의 고유한 회화적 어법을 구축했다.
Untitled-89005, 1989
Oil on canvas
161.8 x 130.2 cm (63.7 x 51.26 in)

Communing with his paintbrush, Lee aims to kindle ‘Spirit Resonance,’ the vital energy that flows from the artist through to the artwork, according to 5th century principles of East Asian painting. In his own words, ‘Endless cultivation and training conveys my spirit precisely in the interactions between body and brush, paint and canvas.’
그는 긴 서예 붓과의 교감을 통해 몸의 움직임을 회화에 반영함으로써 동양 철학에서 말하는 ‘기운생동(氣韻生動)’, 즉 예술가의 정신이 작품 속에 생생히 깃드는 상태를 구현한다. 이에 대해 작가는 “끊임없는 수양과 수련은 신체와 붓, 물감, 그리고 캔버스의 상호작용에서 가감없이 그대로 기운을 통해 전달”된다고 말한다.
Untitled-90207, 1991
Oil on canvas
130.3 x 162.1 cm (51.3 x 63.82 in)
![The lone boat is endowed with particular significance in the artist’s work, ‘both operat[ing] as a symbolic metaphor of “crossing”,...](https://artlogic-res.cloudinary.com/w_1400,h_1400,c_limit,f_auto,fl_lossy,q_auto:good/ws-ropac/usr/images/feature_panels/image/8109/lks-1017.png)
The lone boat is endowed with particular significance in the artist’s work, ‘both operat[ing] as a symbolic metaphor of “crossing”, gliding across the water surface toward the other side, and realiz[ing] another sort of crossing toward the representation of a true painterly reality that transcends the delimitations of the image itself,’ writes art critic Minemura Toshiaki.
그중에서도 배는 작가의 작업 안에서 특별한 의미를 지닌다. 미술평론가 미네무라 도시아키(Minemura Toshiaki)는 “이강소의 배는 수면을 가로지르는 ‘건너기’의 상징적 은유로 기능할 뿐 아니라, 이미지를 넘어 진정한 회화적 실재에 도달하려는 또 다른 ‘건너기’를 실현한다”라고 말한다.
Untitled-88008, 1988
Oil on canvas
182 x 227 cm (71.65 x 89.37 in)

While the boat is rendered in relative detail in Lee Kang So’s earliest paintings on display, it is reduced to a mere outline in subsequent works, surrendering to the artist’s sensuous, spontaneous markmaking.
초기 회화에서 비교적 구체적으로 묘사되었던 배의 형상은 시간이 흐르며 감각적이고 즉흥적인 붓놀림 속에서 희미한 선의 흔적으로 변모한다.
Untitled-88024, 1988
Oil on canvas
116.4 x 91 cm (45.83 x 35.83 in)
Untitled-(N)91221, 1991
Oil on canvas
163 x 198 cm (64.17 x 77.95 in)
[T]he strange attraction of Lee’s painting does not lie in its images, but arises from the conflict and conversation between images and the various elements that threaten and seek to negate them.
— Minemura Toshiaki
이강소 회화의 희귀한 매력은 이미지에 있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이미지와 그것을 위협하고 무효화시키려는 여러 가지 요소와의 끝없는 갈등과 대화에서 배어나는 것이다
— 미네무라 도시아키

Over time, the pure, non-representational painterly gesture takes increasing precedence over the figurative impulse embodied by the boat to express the ineffable sublimity of natural forces.
다양한 조형 요소들이 충돌하고 대화하는 과정에서 도상들은 점차 비재현적인 제스처로 전환된다. 그렇게 형상은 사라지고, 화면은 형언할 수 없는 자연의 숭고한 에너지를 전달하는 매개로 기능하게 된다.
Untitled-94190, 1994
Oil on canvas
97 x 130.3 cm (38.19 x 51.3 in)
Serenity-17013, 2017
Acrylic on canvas
181.8 x 227.3 cm (71.57 x 89.49 in)

The abstracted form of ducks – a traditional subject in Korean painting – also recurs through Lee Kang So’s oeuvre, functioning as a cipher of artistic freedom. As Kwang-Su Oh, the former Director of the Nation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Korea, has stated, ‘ducks function as a pretext for blurring the boundaries between expression and figuration.’
한국화에 전통적으로 등장하는 소재인 오리는 이강소의 작품에서도 예술적 자유의 상징으로서 반복적으로 등장한다. 이에 대해 오광수 전 국립현대미술관장은 “오리는 표현과 형상의 경계를 모호하게 만드는 구실로 기능한다”고 말했다.
Untitled-92006, 1992
Oil on canvas
162 x 130.3 cm (63.78 x 51.3 in)
The exhibition establishes a fertile dialogue between Lee Kang So’s paintings and his sculptures, revealing the ‘pure energy’ that permeates both facets of his practice.
본 전시는 회화와 조각 간의 긴밀한 대화를 통해 이강소의 작업 전반을 관통하는 ‘순수한 에너지’에 주목한다.

In Untitled-94095 (1994), Lee’s signature boat – having broken away from the canvas to materialise in space – glides meditatively through the courtyard connecting the gallery’s first and second floors, amid blocks of bronze that approximate tridimensional brushstrokes.
갤러리 중정에 전시되는 ⟨무제-94095⟩(1994)에서 작가의 배는 더 이상 캔버스에 머물지 않는다. 평면에서 공간으로 떠오른 배는 작가의 붓놀림을 연상시키는 청동 덩어리들 사이로 명상하듯 미끄러지며 2층과 1층 전시장을 연결하고 관객을 인도한다.
Untitled-94095, 1994
Bronze
70 x 85 x 35 cm (27.56 x 33.46 x 13.78 in)

Further channelling Lee’s vital artistic flow, the sculptural installation Paljindo (1981/2017) springs from the very floor of the gallery like a variegated mountainscape. The work seems to suspend time; in the artist’s words, ‘When subject and object fade into oneness, what endures is the silent process of mutual becoming.’
그렇게 마주하는 작가의 설치 작품 ⟨팔진도⟩(1981/2017)는 그의 예술적 흐름을 또 다른 방식으로 매개하며 마치 바닥에서 솟아오른 듯 다채로운 산맥처럼 펼쳐진다. 주체와 대상의 구분이 지워진 채 서로 감응하며 생성과 소멸의 과정을 이루는 순일(純一) 속에서 작가는 “오직 그 둘이 상관하는 사건과 과정만이 있다”고 이야기한다.
Paljindo, 1981/2017
Mixed media
400 x 400 x 100 cm (157.48 x 157.48 x 39.37 in)

The 1990s were a time of extensive sculptural experimentation for the artist, who was particularly interested in the mutable materiality of hexahedrons. Sculpting in concert with gravity, he began throwing flattened clay cuboids into the air and letting them fall to the ground, yielding, in his own words, ‘sculptures made by themselves’.
1990년대는 이강소가 조각적 실험을 활발히 전개한 시기이다. 그는 육면체의 유동적인 물질성에 매료되어, 점토 덩어리를 공중에 던지고 중력에 의해 낙하시키는 방식으로 조형을 시도했다. 작가는 이를 ‘스스로 만들어지는 조각’이라 칭하며, 이로써 작가의 개입을 최소화하고 자연의 작용에 조각의 형성을 위탁하고자 했다.
Untitled-94065, 1994
Bronze
48 x 46 x 105 cm (18.9 x 18.11 x 41.34 in)

Similarly to the Impressionists who ceaselessly depicted the same objects to capture the ever-changing nature of light, Lee Kang So strives to give form to the perpetual flux of natural processes in his sculptures.
이는 동일한 대상을 반복해 그리며 빛의 변화와 시간의 흐름을 포착하고자 했던 인상주의의 회화적 태도와도 상통한다. 이강소는 조각으로써 자연의 영속적인 흐름을 포착하고자 한 것이다.
Becoming-16-C-027, 2016
Ceramic
49 x 35 x 29 cm (19.29 x 13.78 x 11.42 in)

Teetering on the point of collapse, Lee’s haptic stacks of ceramic, bronze, iron and aluminium become poetic sculptures that crystallise, as art critic Eleanor Heartney writes, ‘the accidental beauty of the natural world’.
점토, 세라믹, 청동, 알루미늄 등 다양한 재료로 제작된 그의 조각은 균형과 붕괴 사이의 아슬아슬한 긴장을 품고 있으며, 미술평론가 엘리너 하트니(Eleanor Heartney)의 표현처럼 “자연 세계의 어떤 우연적 아름다움”을 응축한 시적 조각으로 다가온다.
Becoming-10-C-145, 2010
Ceramic
41 x 40 x 48 cm (16.14 x 15.75 x 18.9 i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