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nald Judd 도널드 저드 Donald Judd 도널드 저드

Donald Judd
도널드 저드

Until 4 November 2023

Curated by Flavin Judd
전시 기획: 플래빈 저드

Seoul Fort Hill
서울 포트힐

Scroll down to learn more
스크롤을 내려보세요
/

타데우스 로팍 서울은 오는 9월 4일부터 11월 4일까지 도널드 저드의 개인전을 개최한다. 이번 전시는 한국에서 열리는 작가의 10년만의 첫 개인전이다. 저드 재단 예술 감독 플래빈 저드가 기획한 전시는 1960년대 초기부터 1990년대 초까지 30년에 걸친 작가의 작품을 선보인다. 특히 작가의 작업 세계에 초석이 되어준 회화 작품을 3차원 작품과 함께 소개하고, 1991년 한국에 방문하여 개념화시킨 20점의 목판화 세트를 한국에서는 처음으로 전시하며 그 의의를 더한다. 

Thaddaeus Ropac Seoul presents the first solo exhibition of Donald Judd’s work to take place in South Korea for nearly ten years. Curated by Flavin Judd, the artistic director of Judd Foundation, the exhibition spans more than three decades of the American artist’s work, from the beginning of the 1960s to the beginning of the 1990s.

도널드 저드의 모든 작업은 그 자체로 완벽한 솔직함과 우리가 보는 세상에 관한 이야기입니다. 

— 저드 재단 예술 감독 플래빈 저드

What Don is after in all of the work is a complete honesty about what it is and what you can see.
— Flavin Judd, Artistic Director of Judd Foundation 

플래빈 저드의 전시 설명을 감상하세요
Watch Flavin Judd discuss the exhibition

Play
Pause
플래빈 저드의 전시 설명을 감상하세요 Watch Flavin Judd discuss the exhibition

도널드 저드는 20세기 후반 예술적 지형을 형성하는 데 지대한 영향을 끼친 작가로 3차원 작품의 시각적 언어를 개발하고 예술 오브제를 이해하는 새로운 토대를 제공하였다. 내러티브와 상징주의와의 단절을 선언한 작가는 작품이 가진 고유의 형식적 요소를 시각화하고자 노력했으며 시각 예술을 지탱하는 세가지 주요 요소를 재료, 공간, 색으로 보았다.

Donald Judd played an important role in shaping the artistic landscape of the second half of the 20th century, establishing a new three-dimensional visual language and laying the groundwork for a renewed understanding of the art object. Distancing himself from narrative and symbolism, he endeavoured to render visible the formal properties of the works themselves through the three aspects he considered the pillars of visual art: material, space and colour.

전통적인 화가로 작가 활동을 시작한 저드는 존재하지 않는 것을 묘사하는 것이 아닌 존재하는 것을 강조하는 것이 진정한 예술이라는 점을 깨닫고,...

전통적인 화가로 작가 활동을 시작한 저드는 존재하지 않는 것을 묘사하는 것이 아닌 존재하는 것을 강조하는 것이 진정한 예술이라는 점을 깨닫고, 재현하는 것을 멈추었다. 전시된 회화 작품에 그려진 선과 평면은 캔버스의 높이와 폭을 가로지르며 확장한다. 작가는 이러한 방식을 작품의 본질적인 요소로 차용하고, 형태와 공간의 존재감을 환기시킨다. 

After commencing as a traditional painter, Judd turned away from representation, realising that the most ‘real’ art he could make is not that which depicts what is not present, but that which emphasises what is. In the paintings on view, line and field both extend across the height and breadth of the canvas to embrace it: a way, for Judd, of acknowledging the form and spatial presence of the support as an essential element of the work.

 

Untitled, 1960
Oil on canvas
165.1 x 125.7 cm (65 x 49 1/2 in)

회화의 환영주의가 예술 작품의 사물성(objecthood)을 저해한다고 본 저드는 회화적 평면과 이를 받치는 지지대 사이의 균형을 추구하며 일관되고 그 자체로 완전한...

회화의 환영주의가 예술 작품의 사물성(objecthood)을 저해한다고 본 저드는 회화적 평면과 이를 받치는 지지대 사이의 균형을 추구하며 일관되고 그 자체로 완전한 통일체를 구축했다. 1962년 저드가 캔버스에 작업하는 것을 멈추고 ‘실제 공간’에 직접 작업하기 직전 완성된 2점의 회화 작품은 작가의 2차원 작품 세계의 방점을 찍은 작품이다.

Believing that illusionism in painting undermined the objecthood of the artwork, Judd sought in his paintings to create a balance between the pictorial plane and the support, whereby the two form a coherent whole. Created shortly before Judd abandoned the canvas to work directly in ‘real space’ in 1962, these paintings represent the culmination of the artist’s two-dimensional practice. 

 

Untitled, 1960
Oil on canvas
102.2 x 91 cm (40 1/4 x 36 in)

내 작품의 근원은 회화이다. — 도널드 저드
The origin of my work does lie in painting.  Donald Judd
‘실제의 공간은 본질적으로 평면 위에 올라간 물감보다 더 강력하고 특정적일 수 있다.’ 1964년 발표한 에세이 「특수한 사물(Specific Objects)」에서 작가는 ‘공간을...
‘실제의 공간은 본질적으로 평면 위에 올라간 물감보다 더 강력하고 특정적일 수 있다.’ 1964년 발표한 에세이 「특수한 사물(Specific Objects)」에서 작가는 ‘공간을...

‘실제의 공간은 본질적으로 평면 위에 올라간 물감보다 더 강력하고 특정적일 수 있다.’ 1964년 발표한 에세이 「특수한 사물(Specific Objects)」에서 작가는 ‘공간을 점유하고 있는 작품들은 관습적인 형태에 희석되지 않는다’고 부연한다. 

‘Actual space is intrinsically more powerful and specific than paint on a flat surface.’ Works that occupy such space, Judd continued in his 1964 essay ‘Specific Objects’, ‘are not diluted by an inherited format.’ 

 

Untitled1989
Douglas fir plywood
50 x 100 x 50 cm (19 5/8 x 39 5/16 x 19 5/8 in)

저드는 3차원의 작품을 제작하고 캔버스 위에서 작업하며 경험한 회화적 관습에서 탈피하여 빈 공간을 탐구하기 시작했다. 특히 이번 전시에서 벽에 걸리는...
저드는 3차원의 작품을 제작하고 캔버스 위에서 작업하며 경험한 회화적 관습에서 탈피하여 빈 공간을 탐구하기 시작했다. 특히 이번 전시에서 벽에 걸리는...

저드는 3차원의 작품을 제작하고 캔버스 위에서 작업하며 경험한 회화적 관습에서 탈피하여 빈 공간을 탐구하기 시작했다. 특히 이번 전시에서 벽에 걸리는 작품과 바닥에 놓인 작품에서 각기 다른 공간 탐구 과정을 엿볼 수 있다.

For Judd, the transition to working in three dimensions liberated him from the pictorial conventions that working on canvas tied him to. It also allowed him to explore empty space, which takes a different form in each of the wall works and floor works on view.

 
Untitled, 1984
Aluminum and red plexiglass
25.4 x 177.8 x 25.4 cm (10 x 70 x 10 in)
이번 전시와 함께 발간된 도록에 저자로 참여한 로스엔젤레스 카운티 미술관(LACMA) 관장 마이클 고반(Michael Govan)은 여백의 미가 돋보이는 한국 전통 미술과...
이번 전시와 함께 발간된 도록에 저자로 참여한 로스엔젤레스 카운티 미술관(LACMA) 관장 마이클 고반(Michael Govan)은 여백의 미가 돋보이는 한국 전통 미술과...

이번 전시와 함께 발간된 도록에 저자로 참여한 로스엔젤레스 카운티 미술관(LACMA) 관장 마이클 고반(Michael Govan)은 여백의 미가 돋보이는 한국 전통 미술과 건축이 저드의 공간 이론에 영향을 끼쳤을 가능성을 제기하고, 저드의 공간 연구를 한국의 예술과 건축에서 발견되는 의도적이고 심지어 전복적이기까지 한 여백의 활용과 연결지어 설명한다. 이번 전시에서 선보이는 3차원 작품은 작가의 본질적인 예술 세계를 담고 있으며, 알루미늄, 플렉시 유리와 합판 등 작가의 주요 매체로 제작되었다.

In the catalogue accompanying the exhibition, Michael Govan, director of the Los Angeles County Museum of Art, relates this exploration to the intentional, even provocative, use of emptiness in Korean art and architecture: a tradition that likely influenced Judd’s own theory of space. The three-dimensional works on view at Thaddaeus Ropac Seoul embody these principles across several of the materials for which Judd is best known: aluminium, plexiglass and plywood. 

 

Untitled1991
Douglas fir plywood and aluminum
49.5 x 114.3 x 77.5 cm (19 1/2 x 45 x 30 1/2 in)

저드의 육방형 구조물 형식의 작품 제작 및 조립 방식은 매우 간결하고 명확하게 드러난다. 그리고 그의 작품에 내재된 실재성에는 긴박한 에너지가...

저드의 육방형 구조물 형식의 작품 제작 및 조립 방식은 매우 간결하고 명확하게 드러난다. 그리고 그의 작품에 내재된 실재성에는 긴박한 에너지가 함축되어 있다. 독특한 분할 방식으로 제작된 저드의 육방형 작품들은 명확한 공간, 즉 의도가 다분한 비움을 생성하는 수단이다. 

— LACMA 관장 마이클 고반 

In making his mostly rectilinear constructions, Judd also left bare and obvious the means of their assembly. In their matter-of-factness is also an urgency. A box divided uniquely is a means to produce a definite space, an emptiness full of intentionality. 

— Michael Govan, Director of the Los Angeles County Museum of Art

 

Untitled1989
Green anodized aluminum and clear plexiglass
15.2 x 68.6 x 61 cm (6 x 27 x 24 in)

 

 
Untitled, 1988 Anodized aluminum with yellow plexiglass Overall: 300 x 50 x 25 cm (118 1/8 x 19 5/8 x...
Untitled, 1988

Anodized aluminum with yellow plexiglass

Overall: 300 x 50 x 25 cm (118 1/8 x 19 5/8 x 9 7/8 in)

Each: 25 x 50 x 25 cm (9 7/8 x 19 5/8 x 9 7/8 in)

Untitled, 1985 Painted aluminum 30 x 150 x 30 cm (11 3/4 x 59 1/4 x 11 3/4 in)

이번 전시는 특히 작가의 작업 세계에 초석이 되어준 회화 작품을 3차원 작품과 함께 1991년 한국에 방문하여 개념화시킨 20점의 목판화 세트를 한국에서는 처음으로 전시하며 그 의의를 더한다. 

Featuring his foundational early paintings alongside a selection of his three-dimensional works, the exhibition also highlights a group of twenty woodcut prints conceptualised by Judd while in Korea in 1991, which are presented in Korea for the first time.

이번에 선보이는 목판화 작품은 작가의 판화 작업 전반에 걸쳐 색을 가장 광범위하게 사용한 작품이다. 작가는 격자와 직사각형으로 이루어진 철저한 기하학적...
이번에 선보이는 목판화 작품은 작가의 판화 작업 전반에 걸쳐 색을 가장 광범위하게 사용한 작품이다. 작가는 격자와 직사각형으로 이루어진 철저한 기하학적...

이번에 선보이는 목판화 작품은 작가의 판화 작업 전반에 걸쳐 색을 가장 광범위하게 사용한 작품이다. 작가는 격자와 직사각형으로 이루어진 철저한 기하학적 규칙을 통해 색으로 채운 공간과 빈 공간의 반전을 변주하고, 이를 한지 위에 찍어내어 자칫 딱딱하고 엄격해 보일 수 있는 기법을 완화시켰다. 한지는 한국의 바위산에 서식하는 뽕나무 속 껍질로 만들어진 종이로, 저드는 1991년 한국에 방문하여 이를 판화에 접목시켰다.

This set of prints represents Judd’s most extensive use of colour across his printmaking practice. The artist plays on reversals of filled and empty space through a rigorous geometric logic of grids and rectangles, the rigidity of which is tempered by the handmade hanji paper they are printed on: a paper made from the inner bark of the mulberry plant native to Korea’s rocky mountainsides, which he selected for the prints when he travelled to South Korea in 1991.

 

Untitled1992-1993/2020
Set of twenty woodcuts in cadmium red, cadmium yellow, cadmium orange, ultramarine blue, cerulean blue, cobalt blue, permanent green, viridian green, black, and alizarin crimson on handmade Korean paper
Each: 60 x 80 cm (23 1/2 x 31 1/2 in)

저드는 한국 방문 40년전인 1951년 뉴욕 아트 스튜던트 리그(Art Students League) 재학시절 처음으로 판화 작업을 시도했다. 1960년대 초기 3차원 작품으로...
저드는 한국 방문 40년전인 1951년 뉴욕 아트 스튜던트 리그(Art Students League) 재학시절 처음으로 판화 작업을 시도했다. 1960년대 초기 3차원 작품으로...

저드는 한국 방문 40년전인 1951년 뉴욕 아트 스튜던트 리그(Art Students League) 재학시절 처음으로 판화 작업을 시도했다. 1960년대 초기 3차원 작품으로 전환한 후에도 판화 작업을 계속했으며, 판화 작품은 작가가 유일하게 작업하는 2차원 작품이자 저드의 작업 세계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하였다. 

Judd had first experimented with printmaking four decades earlier in 1951, while still a student at the Art Students League, New York. After his transition to three-dimensional works in the early 1960s, his prints were the only works he continued making in a two-dimensional format, placing them at the very centre of his artmaking. 

 

Untitled1992-1993/2020
Set of twenty woodcuts in cadmium red, cadmium yellow, cadmium orange, ultramarine blue, cerulean blue, cobalt blue, permanent green, viridian green, black, and alizarin crimson on handmade Korean paper
Each: 60 x 80 cm (23 1/2 x 31 1/2 in)

 

도널드 저드의 30여년의 경력을 회고하는 이번 전시는 플래빈 저드의 기획 아래 작가의 광범위한 작업을 조망하며, 서로 관계하고 있는 작품의 형식과 매체를 면밀히 살펴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이번 전시는 작가의 작업 핵심이자 모든 작품에서 발견되는 입체감, 공간감, 실재감을 집중적으로 보여준다. 

Retracing more than three decades of the artist’s career, Flavin Judd’s curation provides an insight into the great breadth of Donald Judd’s practice, encouraging the visitor to view his works across formats and mediums in light of one another. Bringing together these works, the exhibition distils the sense of the solid, the spatial and the real that is present in them all, and which is at the heart of the artist’s practice. 

타데우스 로팍 서울은 이번 전시와 함께 도록을 출간한다. 플래빈 저드가 디자인 총괄을 맡은 전시 도록은 도널드 저드가 직접 쓴 글을...

타데우스 로팍 서울은 이번 전시와 함께 도록을 출간한다. 플래빈 저드가 디자인 총괄을 맡은 전시 도록은 도널드 저드가 직접 쓴 글을 포함하여 마이클 고반, 유진상, 플래빈 저드의 글이 수록되어 관람객의 이해를 도울 예정이다. 

The exhibition at Thaddaeus Ropac Seoul is accompanied by a catalogue designed by Flavin Judd, with texts by Michael Govan, Jinsang Yoo and Flavin Judd, as well as extracts from Donald Judd’s own writings.

    Atmospheric image Atmospheric image
    Atmospheric image Atmospheric image
    Atmospheric image Atmospheric im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