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mes Rosenquist 제임스 로젠퀴스트 Dream World: Paintings, drawings and collages, 1961–1968 꿈의 세계: 회화, 드로잉 그리고 콜라주, 1961–1968 James Rosenquist 제임스 로젠퀴스트 Dream World: Paintings, drawings and collages, 1961–1968 꿈의 세계: 회화, 드로잉 그리고 콜라주, 1961–1968

James Rosenquist
제임스 로젠퀴스트

Dream World:
Paintings, drawings and collages, 1961–1968
꿈의 세계:
회화, 드로잉 그리고 콜라주, 1961–1968


Until 25 January 2025
Seoul Fort Hill
/

Following the recent large-scale retrospective of James Rosenquist's work in Korea at the Sehwa Museum of Art, Seoul, Thaddaeus Ropac Seoul presents Dream World: Paintings, drawings and collages, 1961–1968, foregrounding a defining decade for the American artist. The exhibition brings together important works, including a monumental painting, shaped canvases and a number of rarely shown studies, preparatory sketches and collages – foundational works for some of the artist’s most celebrated paintings, now housed in major international museums – to explore the period in which Rosenquist emerged as one of the most influential artists of his generation.

타데우스 로팍 서울은 미국 팝 아트의 선구자 제임스 로젠퀴스트의 개인전 ⟪꿈의 세계: 회화, 드로잉 그리고 콜라주, 1961–1968⟫을 개최한다. 로젠퀴스트의 기념비적 회화와 비정형 캔버스 그리고 유수의 기관에 소장되어 있는 작품들의 청사진으로 기능했던 연구작, 스케치, 소스 콜라주까지 한자리에 모아 선보이는 본 전시는 그가 작가로서의 입지를 확립하고 당대 가장 영향력 있는 작가로 손꼽히며 부상했던 결정적인 10년의 시기를 조명한다.

Watch a video of the exhibition
전시 영상을 감상하세요

Play
Pause
Watch a video of the exhibition 전시 영상을 감상하세요

In the early years of his career, Rosenquist drew on his background as a commercial billboard painter, employing radical disjunctures of scale and enigmatic compositions, using collage techniques and imagery from magazines to create his own idiosyncratic visual vocabulary. It was during this decade that he completed what many consider his magnum opus: F-111 (1964–65), now on permanent display at the Museum of Modern Art, New York. His work radically tested the possibilities of perception, of the image and of the painted medium itself, establishing his place at the forefront of the nascent Pop art movement.

로젠퀴스트는 옥외 광고판 화가로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잡지에서 찾은 대중적 이미지를 결합한 콜라주 기법을 사용하거나 다양한 도상을 파격적인 비율로 병치하는 등 하나의 수수께끼 같은 화면을 구성함으로써 자신만의 ‘독특한 시각적 어휘’를 구축하였다. 작가의 역작으로 평가받는 설치 작품 ⟨F-111⟩(1964-65) 또한 이 시기에 제작되었으며, 본 작품은 현재 뉴욕 현대미술관(The Museum of Modern Art, New York)에 소장 및 영구 설치되어 있다. 초기 팝 아트 운동의 최전선에서 활동한 로젠퀴스트는 인간의 지각, 이미지 그리고 회화 매체의 가능성을 급진적으로 실험하며 당대 미술계 내에서 확고한 자리를 차지하였다.

During the 1960s, James Rosenquist began investigating the nature of the picture plane, stretching its boundaries by incorporating real objects into his paintings, allowing glimpses of the wall behind the painting, and using shaped canvases.

1960년대 로젠퀴스트는 실제 사물을 회화에 포함시키거나 작품 너머의 벽을 볼 수 있는 형태를 만들고 다양한 매체적 실험을 꾸준히 이어가며 회화의 본질을 탐구하고 그 경계를 확장해 나갔다.

His most radical pictorial intervention at the time of its creation was Bedspring (1962). Women appear in fragments throughout Rosenquist’s...

His most radical pictorial intervention at the time of its creation was Bedspring (1962). Women appear in fragments throughout Rosenquist’s paintings, their alluring eyes, smiles, hands and legs often drawn from magazine advertisements in which sex appeal is translated into commercial appeal. In Bedspring, there is an assertiveness to the female figure’s gaze that belies her apparent role as an object of voyeurism, which retains an element of mystery that never fully resolves into a single reading.

〈침대스프링(Bedspring)〉(1962)은 로젠퀴스트의 작품 중에서도 가장 급진적인 회화적 개입으로 꼽힌다. 로젠퀴스트의 작품 곳곳에 여성의 이미지가 단편적으로 등장하는데, 작품 속 매혹적인 눈, 미소, 손과 다리의 이미지는 종종 잡지 광고에서 상업적 이미지로 소비되는 이미지들을 차용한 것이다. 〈침대스프링〉속에 여성의 시선은 그녀가 단순히 관음적 대상이 아님을 암시하듯 당당하게 자리하며, 이 작품은 하나의 해석으로 귀결되지 않는 신비로움을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로젠퀴스트의 작품 세계 전반과 공명한다.

 
James Rosenquist
Bedspring, 1962
Oil on canvas, with painted twine and painted wood stretcher bars
91.4 x 91.4 cm (36 x 36 in)
The big thing... was violating the picture plane by cutting a hole in a canvas. That was really sacred. [Lucio] Fontana did it... Bob Rauschenberg did a lot of crazy things with the sacred picture plane. I was curious. — James Rosenquist
 
캔버스에 구멍을 뚫어 회화의 평면성을 위반한 것이 가장 주요한 일이었다. 성스러운 과정이었다. 루치오 폰타나도… 로버트 라우센버그도 신성한 평면에 온갖 기상천외한 작업을 많이 했다. 호기심에서 비롯되었던 것 같다. — 제임스 로젠퀴스트
James Rosenquist
Playmate, 1966
Oil on canvas in four parts, wood and metal wire
244.4 x 543.3 cm (96.22 x 213.9 in)

Works from this early period of Rosenquist’s career are exceedingly rare, and Playmate (1966) is one of only four works of a monumental scale. The painting’s subject matter is profoundly tied to the time of its creation: the ‘countercultural decade’ of the 1960s, characterised by anti-war protest as well as cultural and sexual liberation. Rosenquist made the painting at the request of Hugh Hefner, founder of Playboy magazine, which had played a major role in the sexual revolution that would redefine behaviour related to sexuality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플레이메이트(Playmate)⟩와 같은 작가의 초기작, 더군다나 이렇듯 기념비적 규모의 작품은 매우 보기 드물다. 이는 ‘반문화적 10년'으로 불리기도 하는 1960-70년대에 전쟁 반대 시위와 함께 문화적, 성적 해방이 활발히 이루어지던 시기에 제작되었다. 로젠퀴스트는 당시 성 및 대인관계를 재정의하는 성 혁명(sexual revolution)에 지대항 영향을 미친 잡지 『플레이보이(Playboy)』의 창립자이자 편집장인 휴 헤프너(Hugh Hefner)의 요청으로 작품을 제작되었다.

Rosenquist based the female figure in Playmate on a pregnant model, reinterpreting enlarged breasts as tied to pregnancy rather than...
‘The Playmate as Fine Art.’ Playboy 14, no. 1 (January 1967): 141–149. Ill. pp. 146–47, ref. p. 147.

Rosenquist based the female figure in Playmate on a pregnant model, reinterpreting enlarged breasts as tied to pregnancy rather than eroticism. The pickle, strawberries and cream reference common food cravings during pregnancy, subverting the male gaze to focus on the desires of the pregnant woman herself. The structure of the painting, composed of four separate panels, recalls the format of a polyptych, blending the visual language of religious altarpieces with the centrefold structure of a magazine.

 작가는 작품 속 여성을 임신한 플레이메이트를 기반으로 하며 여성의 이미지를 에로티시즘보다는 모성애와 연결지었다. 피클과 크림을 곁들인 과일은 임신한 여성들이 갈망하는 두 가지 식품군, 즉 단맛과 신맛을 상징한다. 로젠퀴스트는 이를 임신한 플레이메이트와 함께 배치함으로써 욕망의 개념, 혹은 욕망의 방향 뒤집기를 시도한다. 동시에 네 개의 독립된 캔버스로 구성된 이 작품은 전통적인 다폭화를 연상시키고 잡지의 센터폴드 페이지가 지닌 성격을 계승함으로써 ‘누드’라는 장르를 더 넓은 예술사적 맥락에서 해석하고자 했다.

Extending his interest in disrupting the picture plane, Rosenquist used sliced Mylar, which fragments and recomposes when exposed to a...

Extending his interest in disrupting the picture plane, Rosenquist used sliced Mylar, which fragments and recomposes when exposed to a breeze. The subject of his Daley Portrait was Chicago mayor Richard J. Daley, who became infamous for his violent handling of the 1968 Chicago riots after the assassination of Dr Martin Luther King.

 그는 작가적 실험의 일환으로 조각난 마일라(Mylar,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일종) 필름을 사용하여 그 위에 그려진 초상이 가벼운 바람 한 번에 사라질 수 있도록 했다. 작품속 초상은 전 시카고 시장 리처드 J. 데일리(Richard J. Daley)로, 그는 1968년 마틴 루터 킹 박사(Dr Martin Luther King)의 암살 이후 발생한 시카고 폭동을 폭력적으로 처리한 것으로 악명이 높았다.

 
James Rosenquist
Daley Portrait, 1968
Oil on slit Mylar polyester film, with posterior aluminium panel
62.2 x 50.8 cm (24.5 x 20 in)
Rosenquist’s large-scale paintings such as Shadows (1961) reveal the influence of his experience as a billboard artist, perched on scaffolding...
Rosenquist’s large-scale paintings such as Shadows (1961) reveal the influence of his experience as a billboard artist, perched on scaffolding high above the city streets, painting an enormous image in segments from which he would have to distance himself in order to see the entirety of the work. As curator Marcia Tucker argues: ‘What is important is not the size of the work, but its scale, that is, the size of a painted image in relation to other images in the work, the canvas, and the observer.’
⟨그림자(Shadows)⟩(1961)에서는 로젠퀴스트가 옥외 광고판 화가로 활동했던 경험과 영향이 여실히 드러난다. 도시를 발판 삼아 높은 가설물 위에서 거대한 이미지를 그려내야 했던 작가는 이미지를 단편적으로 그릴 수밖에 없었고, 먼 거리로 나가야만 비로소 전체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대해 미국의 미술사학자이자 큐레이터 마샤 터커(Marcia Tucker)는 ‘작품의 규모보다는 스케일이 중요하다. 즉, 작품 속 도상의 크기와 그것이 주변 요소나 캔버스, 그리고 그를 마주한 관객과 맺는 관계 안에서 구현되는 스케일 말이다. 그의 거대한 스케일 안에서 각 이미지의 독자성은 사라지는 듯 보인다.’고 논한 바 있다.
 
James Rosenquist
Shadows, 1961
Oil on canvas
172.7 x 243.8 cm (68.11 x 96.06 in)
In his multi-dimensional work, he continually merged his personal world with global political concerns – the power of the military industrial complex, the destruction of our environment and human rights for all races and sexes, to name a few. Jim had a plain-spoken reason for including them, ‘I painted the things that needed painting. — Mimi Thompson Rosenquist
 
그는 다차원적 작품을 통해 자신의 개인적 서사뿐만 아니라 군산업 복합체의 권력이나 환경 파괴, 모든 인종과 성별의 인권 등 세계를 아우르는 관심사를 지속적으로 결합시켰다제임스는 이에 대해 아주 단순한 이유를 들었다. ‘그려져야 마땅한 것들을 그리는 것뿐이라고. — 미미 톰슨 로젠퀴스트

Rosenquist’s work was based on the principle of collaging existing images, often taken from printed advertising. The starting point of his practice was the preparatory collage, which the artist then translated onto colossal canvases. His rarely seen collages not only offer insight into his method, but also stand as works in their own right.  

로젠퀴스트의 작업은 개념 및 구성적 측면에서 기존 이미지를 활용하는 콜라주 기법의 원리를 따르며, 주로 인쇄 광고에서 사용된 이미지를 차용한다. 그는 이미지를 선별하고 파편화한 뒤 그리드로 나눈 거대한 캔버스에 옮겨낸다. 드물게 전시되는 작가의 콜라주 작품은 그의 폭넓은 작품 세계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그 자체로서 하나의 작품으로 존재한다.

Combining source material and the artist’s own hand in a study for the large-scale canvas Look Alive (Blue Feet, Look...

Combining source material and the artist’s own hand in a study for the large-scale canvas Look Alive (Blue Feet, Look Alive) (1961), this early collage offers a fascinating insight into Rosenquist’s method. The artist conceptualised his collages as a metaphorical ‘telescope’, allowing him to see further. The drawn elements and scribbled notes provide an intimate look into his thought process, while the magazine cut-outs become historical artefacts, grounding the work in the concrete reality of the time it responds to.

수집한 각종 자료와 작가의 손길이 결합되어 제작된 소스콜라주는 대형 회화 <Look Alive (Blue Feet, Look Alive)> (1961)를 위한 초석으로 사용되었다. 작가는 자신의 콜라주를 일종의 ‘망원경’에 비유하며, 이를 통해 더 넓은 시야를 확보하려 했다고 설명했다. 작품 속 드로잉이나 격자 무늬, 휘갈겨진 메모는 그의 사고 과정을 긴밀히 들여다볼 수 있는 통로임과 동시에, 잡지를 오려서 재구성한 화면은 작품이 제작된 당시의 구체적 현실을 증언하는 역사적 산물로 기능하기도 한다. 
  

James Rosenquist
Source and preparatory study for Look Alive (Blue Feet, Look Alive), 1961
Cropped magazine advertisements, ink, pencil and crayon,
with adventitious marks, on paper
27.9 x 37.3 cm (10.98 x 14.69 in)
Source and Preparatory Sketch for The Light that Won’t Fail I (1961) includes his preparatory sketches for his painting created...
Source and Preparatory Sketch for The Light that Won’t Fail I (1961) includes his preparatory sketches for his painting created...

Source and Preparatory Sketch for The Light that Won’t Fail I (1961) includes his preparatory sketches for his painting created the same year, now in the collection of the Hirshhorn Museum and Sculpture Garden, Washington, D.C. It demonstrates not only Rosenquist’s attentiveness to composition and form, but also the faithfulness of his reproductions and the bravura with which he painted.

 <꺼지지 않는 불 I>의 자료이자 초기 스케치(Source and Preparatory Sketch for The Light that Won’t Fail I)⟩(1961)는 같은 해 제작되어 현재 미국 워싱턴 DC 소재의 허시혼 미술관 및 조각 정원(Hirshorn Museum and Sculpture Garden, Washington D.C.)에 소장된 회화 작품의 스케치를 포함한다. 이렇듯 소스 콜라주 작품군은 구성과 형식에 대한 로젠퀴스트의 천착과 이미지를 충실하게 재현하고자 했던 작가의 태도, 그리고 그의 뛰어난 예술적 기질을 방증한다.

 
James Rosenquist
Source and Preparatory Sketch for The Light That Won't Fail I, 1961
Cropped magazine advertisement, paper, marker, pencil and crayon
31 x 35.2 cm (12.2 x 13.86 in)
 
James Rosenquist
The Light That Won't Fail I, 1961
Oil on canvas
182.3 x 244.5 cm (71.75 x 96.24 in)
Hirshhorn Museum and Sculpture Garden, Washington, D.C.

Collage is still a very contemporary medium, whether it is done with little bits of paper or in the cinema... In collage there is a glint... or reflection of modern life. — James Rosenquist

콜라주는 아직까지도 매우 현대적인 매체다. 아주 작은 종이로 하든, 영화를 만들든 말이다. 콜라주는 현대적 삶과 그 반짝임이 깃들어 있다. — 제임스 로젠퀴스트

James Rosenquist Source for Untitled (Two Chairs), 1963 Cropped magazine advertisement, masking tape, pencil, coloured pencil and paint, with adventitious...
James Rosenquist Source for Untitled (Joan Crawford Says...), 1964 Cropped magazine advertisement, with pencil and adventitious marks 18.7 x 12.9...
James Rosenquist Source for I Love You with My Ford, 1961 Cropped magazine advertisement and ink on paper 18.4 x...
The luminous Paramus (1966) is part of a series he painted in the mid-1960s examining the effects of the saturated...

The luminous Paramus (1966) is part of a series he painted in the mid-1960s examining the effects of the saturated colours used in television. Exploring new ways of seeing that were being made available by the rapidly developing technology of the 1960s, Rosenquist used the lens of television to study its effect on our perception of reality.

 ⟨퍼래머스(1966)⟩는 텔레비전에 사용된 강렬한 색채 효과를 탐구한 작품으로, 1960년대 중반에 제작된 연작에 포함된다. 기술의 급속한 발전이 열어준 새로운 시각적 가능성을 탐구하며 회화 평면을 확장하고자 꾸준히 골몰했던 로젠퀴스트는 텔레비전이라는 매체가 현실을 인식하는 방식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연구했다.

 
James Rosenquist
Paramus, 1966
Oil on shaped canvas
121.9 x 157.5 cm (48 x 62 in)
Around this time I became interested in how the use of color in advertising and on TV affected the image you’re looking at... Reality is different on TV; the color on the screen is a metaphor for color in reality, almost like the rotogravure color you see in comic strips. I did a few of these TV screen images... I liked the idea of using these strange colors, the kind of blurry, garish colors you would see on old color TV sets. — James Rosenquist
 
이 시기 즈음, 광고나 TV에서 보여지는 색상이 이미지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관심을 갖기 시작했다. 화면 속 색상은 현실 속 색상을 은유적으로 보여주며, 마치 신문이나 인쇄된 만화에서 보일 법한 색감을 연상시킨다. 이렇게 TV 화면을 주제로 한 작품을 몇 점 더 만들었다… 
오래된 컬러 TV에서 볼 법한 흐릿하고 강렬한 색상을 사용하는 것이 흥미로웠다. 
— 제임스 로젠퀴스트
For Study for Horse Blinders (1968) the four panels were conceived as a study for the artist’s monumental, room-sized installation...

For Study for Horse Blinders (1968) the four panels were conceived as a study for the artist’s monumental, room-sized installation Horse Blinders (1968–69), which was first exhibited at the Leo Castelli Gallery, New York, in 1969 and is now part of the collection of the Museum Ludwig, Cologne. Like his acclaimed F-111 (1964–65), he plunged visitors into his unique pictorial universe, providing an uninterrupted framework for exploring politics, science, art and history.

네 점으로 구성된 ⟨<말 눈가리개>를 위한 연구⟩(1968)는 독일 쾰른 루드비히 미술관(Museum Ludwig, Cologne)에 소장되어 있는 ⟨말 눈가리개⟩(1968-69)를 위한 참고 문헌으로 활용되었다. 리오 카스텔리 갤러리(Leo Castelli Gallery, New York, 1969)에서 처음 선보여졌던 ⟨말 눈가리개⟩는 방 하나를 채우는 규모의 설치작으로, 그의 역작으로 평가받는 ⟨F-111⟩(1964-65)과 궤를 같이 한다. 틀이나 시선의 제약이 없는 총체적 작품으로 구현된 ⟨말 눈가리개⟩는 정치, 과학, 미술과 역사를 전반적으로 탐구하는 작가의 관점을 포함하며 관객들로 하여금 그가 구축한 독자적인 화면의 세계로 안내한다.

 
James Rosenquist
Study for Horse Blinders, 1968
Oil on canvas and superimposed Mylar
4 panels, each 30.5 x 45.7 cm (12 x 18 in)
This work is an oil-painted study that Rosenquist used to create his Circles of Confusion lithographs, named after the diffused...

This work is an oil-painted study that Rosenquist used to create his Circles of Confusion lithographs, named after the diffused discs of light that appear when a photographer shifts the focus outwards from a light source. For Rosenquist, the ability of light to illuminate and conceal at the same time became a subject of fascination. 

이 작품은 로젠퀴스트가 그의 석판화 〈착란원(Circles of Confusion)〉을 위해 실험적으로 제작한 유화 연구작으로, 작품의 제목은 사진작가가 초점을 광원에서 바깥쪽으로 이동시킬 때 나타나는 원형의 빛 번짐 현상에서 유래했다. 해당 기법은 반짝이고, 몽환적인 분위기를 연출하여 사진에 화려한 매력을 더하여 주었고, 1960 년대 광고 업계에서 특히 선호되었다. 로젠퀴스트는 밝게 빛나는 빛의 특성에 매료됨과 동시에 그러한 특성으로 인해 가려지거나 드러나지 않는 것이 있다는 지점에 큰 흥미를 느꼈다. 

 
James Rosenquist
Study for Circles of Confusion GE, 1966
Oil on canvas
Diameter: 40.3 cm (15.87 in)

As well as exploring the visual effects of photography, the series carries a strong political message. General Electric, whose logo appears at the centre of Study for Circles of Confusion GE (1966), was both a signifier of the post-war technological boom, providing household appliances, and one of the major contractors for the US army, supplying turbo superchargers for use in fighter and bomber engines in the Second World War. It was later revealed that the company was involved in the manufacture of nuclear weapons. Circles of Confusion can therefore be read as a call to exercise caution when looking at images.  

이 작품은 사진의 시각적 효과를 탐구하는 동시에 강한 정치적 메시지를 담고 있다. 제너럴 일렉트릭은 전구와 냉장고 등의 다양한 가전제품을 가정에 공급했을 뿐만 아니라 2 차 세계대전 당시 전투기와 폭격기 엔진에 사용되는 물자를 미군에 공급한 주요 업체 중 하나로 전후 기술 가속화의 상징과도 같았다. 이후 이 회사가 핵무기 제조에 관여했다는 사실이 밝혀지기도 했다. 본 작품의 제목인 ‘착란원’은 이미지, 특히 사진을 볼 때의 신중성을 일깨우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로젠퀴스트가 만들어낸 눈부신 빛의 효과와 어우러진 회사 로고의 우아한 필체는 우리가 보는 것이, 보여지는 것이 전부가 아님을 암시하는 것이다.

By bringing together a wide range of works from this early formative period in Rosenquist's career, the exhibition demonstrates how these works contributed to his artistic developements of the subsequent decades. 

 1960년대에 제작되었던 로젠퀴스트의 광범위한 작품들을 선보이는 이번 전시를 통해 이러한 초기 작품들이 이후 수십 년간 이어진 작가의 예술 세계 발전에 어떤 영향을 끼쳤는지 확인해 볼 수 있다.

Learn more about the artist 제임스 로젠퀴스트에 대하여
James Rosenquist working on Through the Eye of the Needle to the Anvil, c. 1988. Photo © Russ Blaise
    Atmospheric image Atmospheric image
    Atmospheric image Atmospheric image
    Atmospheric image Atmospheric im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