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데우스 로팍 서울에서 한국 작가를 처음 소개하는 단체전 ⟪지금 우리의 신화⟫는 한국의 예술, 문화, 사회적 지형을 작업의 주요 영감으로 삼는 정희민(한국, b.1987), 한선우(한국, b.1994), 그리고 제이디 차(캐나다, b.1983)의 신작을 소개한다.
The first exhibition dedicated to Korean artists at Thaddaeus Ropac Seoul, Myths of Our Time presents new work by three artists for whom Korea's artistic, cultural and social landscape serves as a vital source of inspiration: Heemin Chung (South Korea, b.1987), Sun Woo (South Korea, b.1994) and Zadie Xa (Canada, b.1983).
이번 전시를 위해 제작된 조각, 텍스타일 그리고 회화 작품은 세 작가들이 신화적 이야기와 구전 전통을 활용하는 지점을 담고있다. 다양한 문화적 맥락에서 파생된 이야기들은 현대적 관점에서 재구성되고, 기술 발전과 정체성, 자아 등의 첨예한 현대사회적 사안을 다룬다.
A shared engagement with mythological traditions of storytelling is explored through sculptures, textiles and paintings created especially for the exhibition. Narratives drawn from diverse cultural contexts are reimagined through a contemporary lens to address urgent issues relating to technological developments, identity and notions of self.
정희민 Heemin Chung
생활의 많은 기반이 온라인으로 옮겨가면서 대상을 지각하고 관계를 맺는 방식이 지속적으로 달라진다고 느낀다. 원래 있는 것들로부터 다른 의미를 끌어내는 것, 당연하게 받아들여 온 것들에 의문을 제기하는 것에 관심을 가지고 있고, 이를 위해 전통적인 소재를 활용한다.
— 정희민
As more aspects of our lives move online, I believe the way we perceive and relate to objects is evolving. I'm interested in deriving different meanings from the original, questioning things I've taken for granted, and using traditional materials to do so.
— Heemin Chung
시적 추상의 예술적 어휘를 구현하는 정희민은 로마 신화에 등장하는 요정 에코로부터 영감을 받아 제작한 신작 회화와 입체 조각을 선보인다. 상대방의 언어를 되풀이할 수 밖에 없는 에코의 기구한 운명은 언어가 지닌 한계, 특히 디지털 기반의 정보체계가 가진 언어적 한계를 상징하는 메타포이다.
Employing a visual language of poetic abstraction, Heemin Chung presents large-scale paintings and floor-standing sculptures that take inspiration from the fate of Echo, a nymph in classical mythology. Sentenced to repeat the words of others, Echo serves as a metaphor for the limits of language, particularly in the digital circulation of information.
정희민 Heemin Chung
먼 곳에서의 부름
Distant Calling, 2022
Acrylic, oil, inkjet transferred gel medium on canvas
223 x 190 cm (87.8 x 74.8 in)
정희민은 작품을 구체화하기에 앞서 디지털 모델링 소프트웨어를 활용하여 일종의 캔버스 스케치를 제작하고, 단면이나 표면으로 분해된 디지털 오브제를 그려낸다. 이러한 단면들은 투명한 겔 미디엄을 통해 물질화되며 막을 형성한다. 이렇게 제작된 물감 덩어리들은 구겨지거나 꼬집히며 캔버스 위에 걸쳐지고 흘러내리며 주름진다. 본래 디지털로 고안된 오브제에 대한 공명으로써 캔버스 위에 자리하고, 이로써 작가는 정물화라는 관습적 회화 장르를 재구성하기에 이른다.
Chung employs modelling software to 'sketch out a canvas' before it is materialised, drawing digital objects that are then dissected into thin cross-sections or planes. These planes are then realised as membrane-like sheets using a transparent gel medium. Draped, tucked and pinched onto canvases, the devised material creates echoed forms of the original modelled object, reconfiguring the genre of the still life.
정희민 Heemin Chung
행진하는 아이리스
Marching Iris, 2022
Acrylic, gel medium, UV print on canvas
194 x 145 cm (76.38 x 57.09 in)
작가의 입체 조각 작품 또한 지속적인 회화적 실험의 일환으로, 디지털 소프트웨어로 구현된 조각 작품의 선들은 마치 생체 구조를 연상시키며 이는 뼈에서 돌이 되어버린 에코의 마지막 신체 변형을 상기한다.
Chung conceives of her sculptures as extensions of her experimental painting practice; their biomorphic lines, modelled using the same digital software used to sketch out her canvases, evoke Echo's final bodily transformation from flesh and bone into stone.
정희민 Heemin Chung
사랑을 울부짖는 작은 사물들 2
Little Things Crying Out for Love 2, 2022
UV print on gel medium, PLA print, stainless steel
50 x 160 x 125 cm (19.69 x 62.99 x 49.21 in)
한선우 Sun Woo
나에게 디지털 이미지는 가상의 세계에서 거주하는 단절된 ‘신체’이다. 스크린으로부터 분리된 이미지에 신체적 노동을 통해 무게를 부여하는 것이다. 이런 관점은 내가 동시대 사회에서 신체에 대해 생각하는 방식이자 내 작업에서 중요한 개념이다.
— 한선우
I imagine digital images as discorporate 'bodies' inhabiting the virtual environment, bringing them out of the screen and adding weight to them through physical labor. This is my way of thinking about our own bodies in today's society, which is an important concept in my practice.
— Sun Woo
한선우는 다양한 소스를 통해 이미지를 수집하고 포토샵을 활용하여 디지털 이미지의 총체를 만들어낸다. 작가는 이렇게 제작된 이미지를 일종의 ‘스케치’로 칭하며, 이를 에어브러시와 전통적인 회화 기법을 활용해 캔버스 위에서 확대하고 한 화면 내에 ‘컴퓨터 같은 질감’과 명백한 회화적 표현을 병치한다.
Sun Woo gathers images from varied sources to create amalgamated digital images using Photoshop. Referring to these images as 'sketches', she employs airbrushing and traditional painting techniques as she scales them up to produce surfaces that juxtapose a 'computer-like texture' with a more overt sense of painterliness.
한선우 Sun Woo
새장 안에서
In the Cage, 2022
Acrylic and charcoal on canvas
220 x 166 cm (86.61 x 65.35 in)
한선우는 <오래된 땅>(2022)은 '부스러지고 잔해가 된 신체로 뒤덮인 황량한 겨울 풍경을 묘사한 작품'이라 설명한다. 얼음으로 뒤덮인 황무지 곳곳에는 틀니 모양의 치아와 잘려진 머리카락이 흩어져 있다. 작가는 '먼지로 가득한 배경에 자리한 파편들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퇴화하고 병든 몸을 상기시키며 그에 따른 쇠약감을 느끼게 한다.'고 덧붙인다. 특히 이러한 신체 부분들은 고전 건축의 잔해와 병치되어 고대 문명의 몰락을 투영해 보여준다.
Sun Woo describes Land of Hollow (2022) as 'a bleak, wintry landscape of bodies that have crumbled and become debris.' Denture-like moulds of teeth and hair cuttings are scattered across the icy wasteland. The artist explains that 'breathing in the dusty air that surrounds them, these fractured parts allude to bodies that have become degenerate with time or illness and the ensuing sensation of debility.' The body parts are juxtaposed with the ruins of classical architecture, offering a corporeal mirror to the fall of the great civilisations of the ancient world.
한선우 Sun Woo
오래된 땅
Land of Hollow, 2022
Acrylic and charcoal on canvas
318 x 198 cm (125.2 x 77.95 in)
제이디 차 Zadie Xa
나는 신화를 주춧돌 삼아 다른 예술가와 나를 연결하기 위한, 혹은 역사적 선상에 나를 위치시키기 위한 더 큰 프로젝트를 고안하고자 한다. 이것이 내게는 내가 살아가는 지금, 이 시대에 일어나고 있는 일들을 고찰하게 해주는 수단이다.
— 제이디 차
I use mythology as the skeleton or backbone for a larger project to create points of linking myself to other artists and particularly, I suppose, to a timeline in history… It's a way for me to think about what's happening contemporaneously to me, in my time.
— Zadie Xa
기술과 테마는 광범위한 작품 세계를 지닌 설치미술 작가 제이디 차에게 빼놓을 수 없는 키워드이다. 이번 전시를 통해 국내에서 처음으로 신작을 선보이는 작가는 3점의 회화와 3점의 텍스타일 작품을 선보인다. 회화와 텍스타일 작품이 짝을 이뤄 하나의 설치작품으로 전시되는 일련의 작품들은 작가의 디아스포라적 정체성에 대한 탐구에 그 중점을 두고 있다.
Technique and theme are integrally entwined in Zadie Xa's expansive practice as an installation artist. For Myths of Our Time, she places three paintings back-to-back with three textile works creating three-dimensional pieces within the gallery space. Marking the first time Xa has shown new work in Korea, the installation demonstrates the centrality of her Korean-Canadian background to her ongoing exploration of diasporic identities.
제이디차 Zadie Xa
귀향
Homecoming, 2022
Oil on canvas, machine-stitched linen
240 × 260 x 3.5 cm (94.49 × 102.36 x 1.38 in)
한국의 신화와 민속 설화는 작가가 많은 영감을 얻는 주요 원천이다. 작가는 한국 신화에서 나타나는 전통적 상징물을 자전적 모티프와 융합함으로써 지극히 개인적이고도 다문화적인 신화를 새로이 확립해나간다. 작가의 반려견을 도덕적 시비를 판별하는 동물 해태로 등장시키거나, 제주도에서 발견한 소라 고둥을 집을 상징하는 도상으로써 활용하기도 한다.
Korean mythology and folklore serve as central sources of inspiration for Xa. Autobiographical motifs are fused with the symbolism of these storytelling traditions to establish her own cross-cultural and deeply personal mythology: her dog is imagined as a haetae, a creature who passes moral judgement, while shells native to Jeju Island in South Korea recur as a symbol for ideas of the home, understood as past vessels for the bodies of other creatures.
제이디 차 Zadie Xa
제 3의 눈
3rd Eye Vision, 2022
Machine-stitched and hand-sewn linen, bleached denim,
mixed technical fabric
240 × 260 x 3.5 cm (94.49 × 102.36 x 1.38 in)
제이디 차의 회화 작품은 한국의 보자기로 대표되는 누비 기법을 활용해 만든 사방 프레임으로 제작되었다. 공예적 전통을 적극 수용하여 본인의 작업을 생산의 역사적 계통 내에 위치시키는 작가는 ‘작품을 돋보이게 하기 위한 과정에서 지워지거나 가려지는' 장인과 예술가들을 재조명하고자 한다고 이야기한다.
Xa's paintings are set in patchwork frames created using the Korean quilting technique bojagi. Adapting traditional craft techniques, she sheds light on the anonymous Korean artists and artisans who, as she explains, ‘become erased or invisible in the process of their works being made visible’, situating her practice within a historical lineage of production.
제이디 차 Zadie Xa
에코
Echoes, 2022
Oil on canvas, machine-stitched linen
110 × 100 x 3.5 cm (43.31 × 39.37 x 1.38 in)
나이듦에 바치는 선물
Gifts for Ageing, 2022
Recycled leather and assorted shell buttons on hand-sewn and machine-stitched linen, denim and mixed technical fabrics
110 × 100 x 3.5 cm (43.31 x 39.37 x 1.38 in)